SEO 전략 수립 : GA, GSC 구글 툴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SEO 전략 수립 : GA, GSC 구글 툴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SEO 전략 수립 : GA, GSC 구글 툴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해선 웹사이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여러가지 툴로,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여 검색자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페이지를 노출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2025에서 구글이 권장하는 구글 툴 사용법과 툴 간의 데이터 이격, 그리고 많은 SEO 종사자분들이 활용하면 좋을법한 GSC 버블맵까지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구글 애널리틱스 vs 구글 서치 콘솔 vs 구글 트렌드

How to Understand Search data and making it useful

웹사이트를 진단할 때, 구글에서 제공하는 가장 정확한 데이터인 구글 애널리틱스 (GA)나 구글 서치 콘솔 (GSC)을 먼저 들여다보는 것은 너무나도 기본입니다. 다만 여기서 구글 툴의 데이터보다 다른 서드파티 툴에 매몰되어 오히려 추정치에 근거해 잘못된 방향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Understanding Search data and making it useful!”이라는 주제로 세션을 진행한 구글 검색팀 Daniel Waisberg는 아래 3개의 구글 공식 서비스의 활용 방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야기했는데요.

Google Analytics, Google Search Console, Google Trend

구글 컨퍼런스에서는 당연하지만 검색과 관련된 3개의 툴인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서치 콘솔”, 그리고 앞선 2가지 툴과 성격이 조금은 다른 “구글 트렌드”의 활용성까지 함께 말했습니다.

2. 세가지 툴을 개별이 아닌 같이 봐야 하는 이유

Reason of View Data from Three Services Together

사실 각각의 데이터를 보는 방법은 워낙 잘 정리되어 있고 실제로도 잘 사용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Daniel은 각 구글 툴 간 같은 성격을 가진 데이터를 함께 확인하는 것에 대해 이야가했는데요. 지리적 위치, 키워드, 페이지, 클릭(세션 수)가 대표적입니다.
실제로 웹사이트의 유입 키워드 및 타겟 키워드에 대한 분석을 진단하기 위해 GSC를 들여다보고, 그에 따른 트렌드와 추가 분석을 위해 구글 트렌드를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와 유사하게 동일한 관점에서 특정 페이지로의 트래픽 측정을 위해 GSC, GA에서 각각 클릭 및 세션 수로 데이터를 측정하게 됩니다.

  1. 키워드 (Terms & Queries)
  2. 페이지
  3. 클릭 & 세션 수
  4. 지리적 위치 (Geo)

3. 비슷하지만 다른 데이터, 이유는 무엇일까?

Why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GA sessions and GSC click data?

결국 검색 관련 데이터를 조금은 다른 기준 및 관점에서 정리된 것이기에 함께 분석해야하는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실제로 데이터를 들여다보면 클릭수와 세션수의 차이가 너무 많이 발생해 당황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Daniel은 이에 대해 여러가지 원인을 예시로 들었는데요.

3-1. 클릭 vs 세션 수 (Clicks vs Sessions) 간의 데이터 불일치 원인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GA Sessions and GSC Click Data
  1. 쿠키 및 추적 차단
    • 사용자가 추적을 차단할 경우 구글 애널리틱스는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지만, 구글 서치 콘솔은 클릭을 기록합니다.
  2. 설정 관련 문제 (ex. 태그 설정)
    •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는 태그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에서의 문제가 원인으로 데이터가 부정확할 수 있으나, 서치 콘솔의 데이터는 일관되어 수집됩니다.
  3. 시간대 차이
    • 사용자 설정에 따라 시간대가 다른 GA와 다르게, GSC는 지역을 불문하고 항상 캘리포니아 시간(PST/PDT)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기록됩니다.
  4. 기여 모델
    • GA는 ‘Non-Direct Less Click Attribution Model’을 사용해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웹사이트 방문 이후 나중에 방문하더라도 기존 검색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해 동일한 검색 활동에서 2개의 세션 이상이 기록될 수 있으나 GSC는 한 번만 기록됩니다.
  5. Canonical URL
    • 구글 서치 콘솔은 표준 URL을 기준으로 대체 URL를 포함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반면, 구글 애널리틱스는 여러가지의 URL에서 개별적으로 데이터가 집계됩니다.
  6. 봇 트래픽
    • 알려진 모든 봇 트래픽에 대해선 GA는 제외하여 수집되고 있지만, GSC는 봇 트래픽을 반드시 제외하지 않아 실제 사용자 클릭 외의 봇 활동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GSC에서는 구글 디스커버(Discover), Non-HTML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나 GA에서는 제한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언급했는데요.
이렇게 구글 서비스 간 데이터의 차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웹사이트를 진단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며, 추가적으로 구글 서치 콘솔 버블맵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갔습니다.

4. 구글 서치 콘솔 : 버블맵을 통한 빠른 문제 진단

Google Search Console Bubble Map (1)

GA, GSC 그리고 다른 데이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툴, Google 루커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구글 서치 콘솔 버블맵은 GSC가 Looker Studio에 연동된 상태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 중 하나입니다.

  • 필터 : 기간, 쿼리, 국가, 접속 기기(*버블 컬러로 구분)
  • 버블(크기) : 쿼리 (클릭 수)
  • X 축 : CTR
  • Y 축 : 평균 게재순위
Google Search Console Bubble Map – Analyze

네가지 사분면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해야할 쿼리, 추가적인 전략 수립 및 해결이 필요한 쿼리에 대해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데요. 특히 CTR이 높지만 낮은 평균 게재순위에 해당되는 2사분면을 최우선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사실 위 버블맵만으로는 각 쿼리의 실제 검색량까지 확인할 순 없기에 추가적인 수정을 통해 검색량을 연동하거나 문제로 판단되는 쿼리에 대해서만 추가적으로 검색량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Google Search Console Bubble Map – How to Create

버블맵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지? 고민할 필요없이 위 사진대로 아래 관련 문서를 통해 Google이 제공하는 버블맵 템플릿에 데이터만 연동하면 바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니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관련 문서 : 구글 공식 문서 – Google Search Console 버블맵

구글 서치 콘솔 버블맵까지 구글 툴만 활용하더라도 웹사이트 현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다양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강조했는데요. 우스겟소리이지만 Daniel이 GSC가 가장 정확한 데이터라고 몇 번 언급한 만큼, 이를 기반으로 SEO 전략을 수립하는 건 기본이자 당연시 되어야할 것 같습니다.


구글 서비스 및 성과 측정 관련 질의 응답

Q. AI Overview의 트래픽에 대해 추후라도 수집/기록될 계획인가요?

A. 먼저 지금도 AI Overview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GSC에서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지속적으로 해당 기능이 개발 중이며, 데이터가 불안정하게 변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로썬 기존 검색 측정 항목 (예시 : 클릭, 노출)을 기반으로 SEO의 가치를 입증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Q. 유사한 이름의 다른 비즈니스가 검색 결과에 나타날 경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A. 구글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정책 위반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현재로서는 해당 웹사이트가 넷 상에서의 인지도를 높여 다른 비즈니스보다 더 많이 검색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입니다.

Q. 구글 콘솔 Indexing API 사용 한도를 늘릴 계획이 있나요?

A. 먼저 해당 API의 경우 라이브 비디오 그리고 모호한 한가지까지 포함해 두가지의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색인 요청 목적으로는 일시적으론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지속적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가적으로 내부적으로 해당 API를 설계한 용도 범위를 벗어나는 용도에 대해선 API 한도를 늘릴 계획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