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세일리언스와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 전략
브랜드가 시장에서 성장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제품의 기능적 차별성은 점점 짧은 시간 안에 복제되고, 익일 배송 같은 혁신적인 유통 서비스 탓에 업체간의 유통 파워도 더 이상 비교 우위가 […]
고유 브랜드 자산(DBA)의 이해와 전략적 활용
브랜딩의 과학 2편의 저자인 제니 로마니우크의 “고유 브랜드 자산(DBA) 구축하기”란 책을 발견.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와 항상 함께 언급되는 고유 브랜드 자산(Distinctive Brand Assets)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광고를 봤는데, 무슨 […]
진짜 브랜드 성장의 비밀: 데이터가 말하는 마케팅 전략(Evidence Based Marketing)
*오늘도 세리자와 렌님의 온라인 강의를 듣고 복습하는 맘으로 글로 정리해봅니다. 금과옥조 처럼 믿어왔던 STP (시장 세분화, 타겟팅, 포지셔닝)이론을 포함한 전통적인 마케팅 전략에 의심을 품게 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매년 수십억에서 수백억의 […]
[5편] CEP를 활용해서 브랜드 성장 시키기!!! -일본의 마케팅 리서치 기업들이 CEP 개념을 어떻게 소개하고 발전시키고 있는가?
CEP가 일본에 처음으로 소개 된 것은 호주 에런버그-배스(Ehrenberg-Bass) 연구소의 바이런 샤프 교수와 제니 로마니우크 교수의 “How Brands Grow” 1권과 2권이 번역서로 출간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후 일본의 여러 […]
[4회] CEP 개념의 탄생: 브랜드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지금까지 3회에 걸쳐 Category Entry Points(CEPs)의 개념과 활용 전략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어떤 배경에서 CEP 개념이 만들어졌지, 만들어 진 이후에 어떻게 발전해왔고, 현재 마케팅 현장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 지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
[3편]CEP를 활용해서 브랜드 성장 시키기!!! – 새로운 CEP 중심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3편은 2편의 방식으로 선정한 CEP가 우리 브랜드의 정체성의 일부로 자리매김하도록 기존의 CEP를 포함해서 전체를 어떻게 조정해가야 하는 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의 목적은 소비자가 해당 상황(CEP)에 놓였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
[2편]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를 활용해서 브랜드 성장의 기회 포착하기!! – CEP 확장 전략: 브랜드 성장을 위한 체계적 접근법
앞서 살펴본 Category Entry Points(CEPs)의 개념과 성공 사례에 이어, 이번에는 기업이 CEP를 전략적으로 확장하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살펴보겠습니다. FMCG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CEP를 발굴하고 평가하며 이를 마케팅 전략에 통합하는 […]
[1편]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를 활용해서 브랜드 성장의 기회 포착하기!!
소비자가 어떤 이유로 무엇인가를 사야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머릿속에서 어떤 브랜드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이 질문의 답이 되기 위한 게임을 우리는 “브랜딩”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는 소비자가 어떤 […]
일본에서의 신라면 검색 현황과 CEP
검색데이터로 알아본 일본에서의 신라면 검색현황과 소비자 인식.
이성과 욕구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검색
번민은 불교에서 욕망과 이성, 혹은 갈망과 현실 사이에서 생겨나는 심리적 갈등을 의미합니다. 이는 마음이 평정하지 못하고 갈등과 혼란 속에서 방황하는 상태로, 욕구와 이성이 충돌할 때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번민의 성격상, […]
광고의 역할은 퍼블리시티(Publicity)와 세일리언스(Salience)
세리자와 렌의 “전략 놀이”의 광고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해봅니다. 광고는 기업에게 중요한 마케팅 수단 중 하나입니다. 많은 마케터가 광고의 효과에 대해 다양한 접근 방식을 취해 왔고, 이는 마케팅 이론에 반영되어 왔습니다. […]
CEP의 정의와 구성 및 적용 방법
CEP의 정의와 구성 및 적용 방법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 (Category Entry Points, CEP)는 소비자가 특정 구매 상황에서 특정 브랜드를 떠올리게 하는 상황과 브랜드의 연관 지점을 말합니다. CEP는 브랜드가 소비자의 필요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