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편은 2편의 방식으로 선정한 CEP가 우리 브랜드의 정체성의 일부로 자리매김하도록 기존의 CEP를 포함해서 전체를 어떻게 조정해가야 하는 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의 목적은 소비자가 해당 상황(CEP)에 놓였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
앞서 살펴본 Category Entry Points(CEPs)의 개념과 성공 사례에 이어, 이번에는 기업이 CEP를 전략적으로 확장하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살펴보겠습니다. FMCG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CEP를 발굴하고 평가하며 이를 마케팅 전략에 통합하는 […]
소비자가 어떤 이유로 무엇인가를 사야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머릿속에서 어떤 브랜드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이 질문의 답이 되기 위한 게임을 우리는 “브랜딩”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는 소비자가 어떤 […]
마케터가 찾아가야 할 마케팅 강의 플랫폼
마케팅 교육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통해 찾아보겠습니다.
리스닝마인드 허블로 알아보는 무료 AI 그림 사이트 Best 3
최근 AI 그림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도와 인기있는 무료 프로그램 3가지를 정리했습니다.
일본 시장조사 : 논 알코올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논 알코올 맥주의 CEP
일본 주류 회사에서 주력 중인 논 알코올, 저 알코올, 미 알코올 음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논 알코올 맥주가 생각나는 순간(CEP)을 검색데이터로 알아보았습니다.
일본 시장조사 : 편의점 화장품과 미니 화장품
일본에서 새로운 화장품 유통으로 자리 잡은 편의점.편의점 화장품과 미니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시장 현황을 검색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해보았습니다.
리스닝마인드로 발견한 CEP와 미고객 사례 : WAKEMAKE
검색데이터로 발견한 WAKEMAKE의 새로운 CEP와 미고객, 페르소나를 소개합니다.
검색 데이터 활용: 허블을 정기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이유?
리스닝마인드 허블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본 기능 뿐만 아니라, 허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저장하여 더욱 심화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브랜드 검색 마케팅]의 핵심 (1) – 검색 데이터로 마케팅 성과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마케터들은 브랜드의 상황을 진단하기 위해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 등 다양한 지표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복잡한 지표들을 하나로 단순하고 강력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최근 출간된 일본의 [지명검색마케팅]을 통해 검색데이터가 마케팅 성과지표로 활용되어야 하는 이유와 그 가능성에 대해 살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