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세용
소비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것이 마케팅의 시작이자 핵심이라 믿고 검색데이터 분석과 활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검색엔진 최적화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좋은 팀 만들기, 코즈 마케팅, 사회적 기업,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 등에 늘 관심이 많습니다.
-
Robots.txt와 Sitemap.xml 제대로 설정하기
웹사이트 방문자가 URL에 접속해서 읽은 정보들을 자신의 기존 지식 체계 안에서 저장하는 것 처럼 검색 크롤러도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카피해서 검색엔진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주제별로 색인한다. 이렇게 색인된 정보만이 검색 결과에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마케터 입장에서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검색엔진의 크롤러를 어떻게 대응하는가는 검색엔진최적화의 관점에서 아주 중요하다. 텍스트 파일 형식의 로봇 텍스트 파일(robots.txt)과 xml형식의 사이트맵 파일(sitemap.xml)은 사이트에 […]
-
2021년 사업 계획서를 쓰기 시작하기 전에 당신과 잠깐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 이 글은 2001년 12월 24일 라이코스 코리아에서 일 할 때 썼던 글로 개인 블로그에 올려 놓았던 글이다. 거의 만 19년이 지나 내년 사업 계획을 정리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이런 저런 자료를 찾아보다 이 글을 다시 읽게 되었다. 당시 라이코스 코리아는 롤러코스터와 같은 스피드로 직원 수가 늘어가던 시절이다. 다음 해 사업 계획을 하던 나는 사업에 대한 […]
-
글로벌 Tech 스타트업의 IR덱(Pich Deck) 샘플 모음
회사를 사업을 잘 소개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자신과 팀의 꿈과 미래를 담아내는 IR 피치 덱을 잘 쓰는 것은 더욱 그러하다. 존경하는 테크 스타트업들의 창업자들이 자신들의 꿈을 알리기 위해 사용했던 피칭 덱(Pitch Deck) 몇 개를 모아봤다. #1. SEOmoz의 발표 자료 Moz Con으로 유명한 SEOmoz의 창업자 랜드 피쉬킨이 2011년에 사용했던 피칭 덱이다. 그는 내가 개인적으로 […]
-
마케팅 기술(Martech)의 지향점과 마케터에게 전달하는 메시지
최초의 배너 광고는? 인터넷 광고가 시작된지 25년이 지났다. 1994년 10월 27일 핫와이어드(Hotwired.com)에 AT&T의 배너광고가 처음 실렸던 것이 인터넷 광고의 시작으로 기억되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4개월간 게재된 그 배너의 CTR이 44%였다는 점이다. 44%라니 놀랍다. 인터넷 광고가 시작된 지 25년이 지난 지금 우리들이 디스플레이 AD라고 부르는 이 배너 광고의 평균 CTR은 대략 0.35% 전후다. CTR은 100분의 1 […]
-
캐노니컬 태그의 다양한 역할 이해하고 활용하기
캐노니컬 태그는 <link>태그의 한 요소로서 <head> </head> 상에 위치하며 대게 아래의 예시처럼 메타 태그들을 설정한 후에 그 다음에 설정해준다. <title>어센트 코리아</title><meta name=”description” content=”어센트 코리아는 검색 데이터 리서치를 바탕으로 검색엔진최적화 (SEO)와 콘텐츠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 기업입니다. 검색데이터 분석의 다년간의 경험과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인텐트 기반 마케팅 데이터 플랫폼 리스닝마인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meta […]
-
고객 및 프로젝트 크리덴셜
(2020년 8월) 마리끌레르와 메종 그리고 비앤빛 강남밝은세상 안과를 새롭게 고객사로 모시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고객이 운영 중인 웹사이트에 대한 360도 분석(웹트래픽, 웹사이트 구조, 캠페인 트래픽, 검색엔진에서의 노출 현황 분석)과 분야별 검색데이터(구글과 네이버)를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합니다. 또한 캠페인 성과 가시화 및 분석툴인 DVA를 통해 웹사이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콘텐츠 마케팅과 검색엔진최적화 마케팅을 돕습니다. […]